정의
마케팅에서 미끼효과란, 2개의 제품중에서 고민하던 소비자가 비대칭적 우위를 점하는 3번째 제품이 나타남으로써, 앞선 2가지의 제품 중 특정제품의 선호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여기서 3번째 제품은 기존의 제품 중 하나에서는 모든면에서 우위를 내줘야하고,다른 하나에서는 특정 조건에서만 우위를 점하는 제품이여야 한다.
예제
예를들어, 시장에 용량이 많은(하지만, 비싼) MP3플레이어와 가격이 저렴한(하지만, 용량이 적은) MP3플레이어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어떤 소비자는 좀더 많은 노래를 담을 수 있는 것을 선호하는 반면, 어떤 소비자는 좀 더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구매하고자 한다.
|
A |
B |
가격 |
$400 |
$300 |
용량 |
30GB |
15GB |
시장에 이 2가지 MP3플레이어가 있다면, 소비자는 자신의 기호에 따라 물건을 선택하게 된다.
이 때, 시장에 A와 B보다 비싸지만, A보다 용량이 더 적은 새로운 MP3플레이어인 'C'가 등장했다고 가정해보자.
|
A |
B |
C |
가격 |
$400 |
$300 |
$450 |
용량 |
30GB |
15GB |
25GB |
가격도 저렴하면서 용량도 많은 'A'라는 제품때문에 소비자들이 구매를 꺼리게 될 'C'라는 제품이 가세했을 때, 기존에 제품 'B'의 구매를 선호했던 소비자라도 'A'를 선택할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A'와 'B'만 존재했을 경우에는 일장일단이 있는 2개의 제품중에서 고민을 하기 때문에 50:50의 확률로 구매가 이루어지지만, 'A'를 훨씬 돋보이게 할 수 있는 'C'의 존재로 인해 사람들의 구매의사가 변경되는 경우이다.
반면에, 'C'라는 제품대신 'A'보다는 싸고 'B'보다는 비싸면서, 용량은 두 제품보다 적은 'D'라는 제품이 시장에 등장했다고 가정해 보자.
|
A |
B |
D |
가격 |
$400 |
$300 |
$350 |
용량 |
30GB |
15GB |
10GB |
이 경우에 소비자는 'D'제품을 선호하지 않게 된다. 가격과 용량에서 모두 'B'에 뒤지기 때문이다. 반면에 두제품 사이에서 고민하던 소비자들은 'B'를 선호하게 된다. 'D'가 'B'를 더 돋보이게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결국 'C'가 있다면 'A'가, 'D'가 있다면 'B'가 더 선호받는 제품이 된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